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강원특별자치도장애인종합복지관

우리는 항상 소통합니다

새소식알림

강원특별자치도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알려 드립니다.

새소식알림

2018년 온라인 댓글 캠페인 최우수 댓글 선정 결과 발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8-12-18 10:55 조회4,834회 댓글0건

본문

우리복지관은 2018년에 장애인식개선 및 장애인 인권보장을 주제로 4월~11월까지 "온라인 댓글 캠페인" 을 진행하였습니다.

 

온라인 댓글 캠페인을 통해 매월 선정된 우수 댓글 중 3개의 최우수 댓글을 선정하여 다음과 같이 발표합니다.

 

2018년 온라인 댓글 캠페인 최우수 댓글 선정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주제: 기술의 발전 속에서도 차별받는 장애인, 다함께 발전 할 수 있는 방법은?

봉의고등학교 - 이수연

나에겐 마냥 편리하다고 느껴졌던 기술의 발전이 어떤 이들에게는 세상과 더 멀어진 것 같은 느낌으로 다가 갔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이제서야 들어 부끄럽다 선천적 장애인의 수보다 후천적 장애인의 수가 월등히 많은 것을 보면 우리도 장애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비장애인은 장애인과 자신이 먼 거리에 있으며 차별적이라는 생각을 해서는 안 된다 그렇기에 모든 기술의 발전에는 장애인을 비롯한 사회적 소수자들이 기반이 되어야 하고 누군가에게는 당연한 일이 또 다른 이에겐 당연하지 못 할 수 있다는 사실을 꼭 염두에 두어야 한다

 

        주제: 대중교통 접근성 문제로 명절에 고향을 못 내려가는 장애인의 삶, 모두가 행복한 명절을 보내기 위한 방법은?

사내고등학교 - 김유빈

평소 버스를 타고 다닐 때는 몰랐는데 학교에서 했던 장애인 관련 교육과 이 온라인 댓글 캠페인에 써져있는 글을 읽고 우리에게는 일상적인 일이 장애인에게는 불편한 점이 많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저는 앞으로 버스를 만들 때 모든 버스에 장애인들을 위한 시스템을 추가하였으먼 좋겠습니다. 이미 만들어진 버스는 고치기 힘들겠지만 서서히 만들다 보면 편리한 버스가 많아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주제: 장애인의 정보접근성 취약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지역주민 박다빈

장애가 있는 많은 분들이 정보 습득에서 소외받는 것이 우리나라만의, 한글의 문제만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정보는 누구나 동등하게 이해하고 접근하고 사용하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장애인들이 계속 정보에서 소외된다면, 이 사회는 장애인들에게 차별을 하고 동등하게 사회에서 생활할 기회를 박탈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국가기관에서 장애를 가진 사람들도 비장애인과 똑같이 생활할 수 있는 환경개선에 힘써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장애 차별 예방을 위한 ‘2018 온라인 댓글 캠페인에 댓글로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QUICK LINK

본관링크
생애주기지원1팀
생애주기지원2팀
생애주기지원3팀
긍정행동지원실
CBS사업지원팀
직업지원팀
사회서비스팀
기획연구팀
운영지원팀
장애인활동지원사업
분관링크
평창분관
속초분관
철원분관
부설기관링크
새라새주간보호소
공동생활가정
하나어린이집